최근 세계로 확산중인 한류 열풍이 해외 소비자의 한국 상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3일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등의 한국 방문객 및 현지소비자 1,173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를 알면 수출이 보인다'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80% 이상이 한류가 한국상품 구입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고 4명 중 3명꼴로 실제로 한국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한류와 한국상품 구매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류를 활용해 수출 확대를 할 수 있는 4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품목(Product)의 경우 현재 케이팝(K-POP)과 드라마 등 한류콘텐츠를 통해 자주 노출되는 가공식품, 화장품, 의류 수출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일본(가공식품), 중국(화장품), 대만ㆍ베트남(의류) 등 국가별로 선호하는 품목이 달라 진출시장 별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조언했다.

상품 판매 채널(Place)은 전달매체로서 중요성이 높아지는 인터넷상의 B2C(기업과 소비자 거래) 판매가 유용하고 홍보(Promotion) 면에서는 유튜브,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제시했다.

가격(Price)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리미엄 전략의 구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한류를 통해 개선된 국가이미지와 품질 및 디자인 등 비(非)가격경쟁력 간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홍지상 수석연구원은 "현재의 한류 열기는 일회성이 아니라 앞으로 우리 수출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인프라로 인식해야 한다”며 “진출하는 국가의 문화와 한류상품에 대한 선호도 및 소비자 성향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111/e20111113113537120180.htm